조리기능장 : 입학이 합격인 중앙요리학원, 최근 3년 합격자 41명 배출, 24년은 당신 차례입니다!
조리기능장 : 입학이 합격인 중앙요리학원
▶ 식재료정보/식량작물
콩
hrd.go.kr2022. 7. 17. 14:41
콩에는 섬유질이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어 대장 활동을 활발하게 하여 변비를 개선시켜주고요~ 콩은 양질의 단백질이면서 비타민E가 풍부해 기미 생성을 방지해주고, 이소폴라본 성분은 노화예방에 효과적입니다. 또한, 콩의 열량은 100g당 약 400kcal로 높은 편이지만, 식이섬유가 풍부해 포만감을 줘 과식을 막아줍니다.
1. 콩 개요
학명
Glycine max (L.) Merr.
영명
Soybean, bean
원산지
중국, 시베리아의 아무르강 유역
정의
쌍떡잎식물 장미목 콩과의 한해살이풀
기원 및 분포
- 콩의 원산지는 중국과 시베리아의 아무르강 유역이며, 야생형·중간형·재배형이 널리 분포함
- 만주지방 및 한반도를 이차적 분화의 중심지로 추정함
- 한국, 중국, 만주, 아메리카, 유럽 등 전 세계에 분포함
- 콩은 우리가 먹는 곡식 중 유일하게 한반도가 발상지이며, 동북아시아 중 중국 만주지방과 한반도 지역이 원산지로 한반도의 콩 재배 연한은 약 3,000년 전으로 추정됨
- 한반도와 만주를 중심으로 재배되던 콩은 18세기 서양에 전파되었으며, 특히 미국에 도입된 이래 전 세계로 확산됨
- 세계 1, 2차 대전 당시 식량난으로 어려움을 겪던 인류에게 유지자원과 단백질을 제공하며 인류의 영양원 역할을 했던 콩은 전체 영양성분 중 40% 내외가 단백질로 구성되며, 20%에 달하는 지방은 대부분 불포화지방산으로 구성되어 있음
국내 전파
- 「삼국사기」에 콩에 대한 기록이 있는 것으로 보아, 우리나라에서 오래전부터 재배되었음을 알 수 있음
모양
- 줄기의 높이는 60cm에 달하고 잎과 더불어 갈색 털이 있음
- 잎의 모양은 달걀모양 또는 타원형이며 가장자리가 밋밋함
- 꽃은 자줏빛이 도는 홍색 또는 백색이며, 꽃받침은 종 모양임
재배적 특징
- 콩의 발아를 위한 적정한 온도는 약 30℃ 정도로 보고 있음
- 다른 작물에 비하여 많은 수분을 요구하는 작물로, 발아를 위해 씨앗 무게의 50% 정도의 수분 함량이 필요함
- 표면 토양층이 깊고 토양 수분 보유력이 높으며, 토양 산도가 중성인 토양이 좋음
- 생육기간 : 가장 짧은 것은 75일, 가장 긴 것은 200일 정도
- 생육적온 : 25~30℃(지표적온 : 15℃)
특성
- 대두(大豆)라고도 하며, 식용작물로서 널리 재배
- 줄기는 높이가 60~100cm이고, 곧게 서며 덩굴성인 품종도 있음
- 잎은 어긋나고 3장의 작은 잎이 나온 잎이며, 작은 잎은 달걀 모양 또는 타원 모양
소비형태
- 가공하여 두부, 된장, 간장, 콩가루, 과자 콩기름 등으로 이용
- 인조버터의 제조 원료와 사료, 비료, 각종 공업원료로 사용
- 콩나물로 재배하여 이용
※ 출처 : 농촌진흥청, 경기도농업기술원
2. 콩 종류
▣ 국내에서 육성되는 콩 품종
종류
사진
주요 특성
두루올
- 조생종이며, 생육일수는 100일 내외임
- 불마름병에 저항성이 강하며, 비나 바람에 강함
- 잎 모양은 난형이며, 꽃은 백색임
미소
- 콩 비린내에 관여하는 효소 활성이 나타나지 않는 비린내 없는 콩임
- 불마름병에 저항성이 강하며, 두부 가공 적성이 우수함
- 잎 모양은 난형이며, 꽃은 백색임
대찬
- 착생 부위가 높으면서도 비나 바람에 강함
- 불마름병에 저항성이 강함
- 메주 및 청국장 가공 적성이 우수함
- 성숙기는 10월 13일이며, 100립 무게는 24.5g
- 꼬투리 착생부위가 높으면서도 도복에 강함
해원
- 불마름병에 저항성이 강하며, 종실병해 및 비나 바람에도 강함
- 잎 모양은 피침형이며, 꽃은 자색임
- 황색 소립종이며, 콩알 무게가 지나치게 감소하는 것을 예방하기 위해 적기에 파종해야 함
선풍
- 황색 대립종임
- 불마름병과 모자이크바이러스병에 저항성이 강함
- 장류와 두부 가공 적성이 우수함
- 성숙기는 10월 19일이며, 종피색과 배꼽색은 황색
새금
- 황색 중대립종임
- 불마름병과 모자이크바이러스병에 저항성이 강함
- 장류와 두부 가공 적성이 우수함
- 성숙기는 10월 17일이며, 황색이고 중대립
- 주로 장류 및 두부용으로 사용
늘찬
- 황색 대립종이며 종실 품위가 우수함
- 불마름병 등 잎 발생 병해와 비나 바람에 강함
- 청국장 및 메주 가공적성이 양호함
천산
- 100립중은 24.8g으로 중립종
- 불마름병에 저항성이고 바이러스에 강함
- 등숙기간이 길고, 도복에 강하며, 탈립이 되지 않음
- 단백질함량이 높고 두부 가공적성이 높음
금강
- 100립중은 24.8g으로 중립종
- 불마름병에 저항성이고 바이러스에 강함
- 등숙기간이 길고, 도복에 강하며, 탈립이 되지 않음
- 단백질함량이 높고 두부 가공적성이 높음
청미인
- 개화기는 8월 1일이고 성숙기는 10월 22일
- 경장은 67cm이며 분지 수는 다소 많고 협수는 37개 정도
- 100립 무게는 34.3g으로 무거운 대립종
- 불마름병 및 콩 모자이크바이러스병에 강함
청두1호
- 성숙기는 10월 6일로 일품검정콩에 비하여 9일 정도 늦은 중생종
- 개체 당 협수는 35개 정도이며 2립협과 3립협 비율도 높음
- 100립중은 23.6g으로 소립
- 제주를 제외한 전국 지역 재배가 가능한 품종
- 내탈립성이 약하므로 수확시기가 지연되지 않아야함
청자3호
- 개화기는 7월 30일이며 성숙기는 10월 10일로 만숙 품종
- 경장은 66cm 정도로 작으며 도복에는 비교적 강한 특성을 갖음
- 100립중은 32.1g으로 대립종
중모3009호
- 개화기는 8월 2일이며 성숙기는 10월 19일
- 경장은 86cm로 청자콩보다 12cm정도 길며 협수는 약간 많고 100립중은 29.3g으로 가벼운 대립종
- 불마름병에 저항성이 강함
대망
- 대망품종의 신육형은 유한형이며, 엽형은 난형이고, 꽃색은 백색, 종피색은 담록색
- 100립중은 31.4g으로 대립종
- 포장에서의 불마름병의 이병이 적고, 검은뿌리썩음병에도 강함
소진
- 종피색은 황색이고, 배꼽색은 담갈색
- 성숙 후 꼬투리의 탈립은 잘되지 않는 편
- 개화기는 7월 31일경이며 성숙기는 10월 8일 전후인 중만생종
- 줄기 길이는 52cm로 풍산나물콩보다 다소 작고, 도복에 강하며, 개체당 꼬투리 수는 58개
만수
- 만수는 유한 신육형이며, 잎모양은 난형이고 꽃색은 자색
- 종자는 구형으로 종피색이 담녹색이며 성숙후 꼬투리의 개열이 잘 안됨
- 만수의 개화기는 평균 7월 22일이고 성숙기는 10월 5일
- 종자 100립의 무게가 26.5g으로 대립
중모3011호(밀양228호)
- 개화기는 8월 12일로 대비품종인 청자3호보다 14일 늦고 성숙기는 11월 17일로 늦다.
- 경장은 80cm로 청자3호보다 15cm 크고, 분지수는 다소 많고 도복은 5.6으로 약하고, 협수는 31개 정도다.
- 100립 무게는 66.4g으로 청자3호보다 32.0g 무거운 대립종이다.
녹원(밀양153호)
- 녹원의 개화기는 6월 20일이며 풋협 수확기는 8월에 수확되는 조숙종이다.
- 경장은 34cm로 마디수는 적으나 협수는 많아 가지형 풋콩의 특성을 나타내고 있다.
- 녹원은 단경으로 도복에 강하며 100립중이 75.4g으로 무거운 대립종이다.
선유
- 유한 신육형이며 엽형은 환형이고, 꽃색은 자색이다. 모용색은 회색이고 종피색 및 배꼽색은 황색이며 입형은 구형으로서 성숙후 협의 개열이 잘 안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