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송에서 ‘흑임자죽’ 등 한자(흑임자)와 우리말(죽)이 엉킨 국적 없는 글자를 쓰고 말하고 있다. 사실 ‘죽(粥)’자는 순우리말인 ‘죽’을 한자로 쓰려다 보니 만든 우리나라에만 있는 한자다. 아직도 한자 사대주의에 빠져서 그렇다. 한자를 쓰면 배운 사람같이 따라주고 순우리말로 ‘검은깨죽’ 하면 촌사람이 쓰는 말이라 업신여기는 차별의식이 많아서다.
한식을 만들 때, 주로 쓰는 기름은 참기름과 들기름으로 각각 참깨와 들깨에서 짠다. 참기름과 들기름은 아주 독특하고 맛있는 향으로 음식의 맛을 돋운다. 들깨는 동아시아가 원산지인데, 들에서 자라는 깨라 들깨라 했다. 중국에서는 들에서 난다 해 이를 야소(野蘇 : 들깨)라 하고, ‘임(荏)’이라고 하거나 작은 것을 뜻하는 ‘자(子)’를 붙여서 ‘임자(荏子)’라고도 썼다. 우리가 쌈으로 먹는 깻잎은 들깻잎이다. 많은 사람들이 참깨에 ‘참’ 자가 들어 있다 해 참깨가 우리나라 진짜 깨인 줄 아는데, 농경학적으로 진짜 깨는 들깨다.
참깨는 서아시아 등에서 교역을 통해 중국으로 전해졌다. 참깨는 삼(중국에서는 대마라고 함)과 잎사귀나 대가 비슷하다. 그래서 참깨를 중국에서는 ‘호마(胡麻)’라고 불렀고, 향과 기름이 난다 해서 ‘향마(香麻)’ ‘유마(油麻)’라고도 했다. 참깨가 대부분 흰색이라서 백지마(白脂麻), 백호마(白胡麻)라고도 불렀다. 우리나라에서는 옛날에도 참기름을 들기름보다 선호했는지 참깨 기름에 좋은 의미와 진짜라는 의미로 참(眞)자를 붙여서 참기름이라 했다. 그래서 어떤 이는 참깨를 ‘진임(眞荏)’으로 쓰기도 한다. 사실 그 연유를 잘 모르고 쓰는 말이다. 영어로 말하면 콩글리쉬 격이다. ‘진임’이라는 말은 조선후기 문인인 황필수가 쓴 <명물기략(名物紀略)>에 유일하게 나오는데, 일반 백성들이 ‘참기름’ ‘참깨’ 하니까 참깨의 원산지나 어원은 모르더라도 한자로 만들어 쓴 것일 것이다. 사실 명물기략은 팔도강산에 온갖 내려오는 이야기를 기록한 책이다.
다시 말하면 들깨가 우리나라의 진짜 깨고 들깨를 ‘임자(荏子)’라고 한다. 그래서 흰참깨를 백임자(白荏子), 검은깨를 흑임자(黑荏子)라고 하는 것은 잘못된 것이다.
조리기능장 흑임자죽 레시피
▶ 흑임자죽
1. 흑임자를 씻어 물기를 뺀 후 팬에 둥그스럽게 될때까지 볶는다.
2. 믹서에 불린 쌀과 동량의 물을 넣고 갈고 체에 내린다.
3. 흑임자, 1/2C의 물을 믹서에 넣고 갈고 체에 내린다.
4. 냄비에 쌀물과 물 2C을 부어 저으면서 죽을 끓인다.
5. 흑임자물을 넣어 저으면서 죽이 어우러질 때까지 끓인다.
6. 소금과 꿀로 간하여 그릇에 담아 완성한다.
흑임자죽은 다른 실기 메뉴와 함께 출제 됩니다.
고정된건 아니고 회차마다 조합이 달라집니다.
조리기능장 합격을 위해서는 흑임자죽 꼭 배우셔야겠죠.
'▶ 조리기능장 > 한식조리기능장 메뉴 실습'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도미찜2 - 조리기능장 / 한식조리기능장 실기메뉴 (1) | 2024.02.12 |
---|---|
준치만두 - 조리기능장 / 한식조리기능장 실기메뉴 (2) | 2024.02.07 |
대합구이 - 조리기능장 / 한식조리기능장 실기메뉴 (0) | 2024.02.01 |
월과채 - 조리기능장 / 한식조리기능장 실기메뉴 (2) | 2024.01.31 |
게감정 - 조리기능장 / 한식조리기능장 실기메뉴 (3) | 2024.01.30 |